당사는 당사 웹페이지를 개선하기 위해 쿠키를 사용합니다. 당사의 쿠키 정책 을 읽으십시오.

온라인 도움말

네트워크

참고: 이 기능은 사용하는 NAS 모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
서버 이름, LAN 및 Wi-Fi 설정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 기타 설정에서는 IP 주소, DNS 서버 및 기본 게이트웨이를 설정합니다.

  • 서버 이름: 네트워크 상에 추가시킬 NAS의 이름
  • 기본 게이트웨이: 현재 네트워크 구성의 기본 게이트웨이
  • DNS서버:사용할 DNS서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 DHCP를 통해 IP주소를 얻으려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사용 가능한 DNS서버를 가져옵니다. IP주소를 수동으로 입력하도록 선택한 경우에는 DNS서버도 수동으로 입력해야 합니다.
    주의 : 잘못된 DNS서버를 사용하면 일부 네트워크 관련 기능에 영향을 미칩니다. (즉, 다운로드 센터) 진행 방법에 대해 불확실한 경우 자동으로 IP주소를 얻도록 선택하십시오.
  • DHCP 서버 셋팅: IP 주소가 수동으로 설정되었을 때에만 DHCP 셋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
    • 임대 시간 (시간): DHCP 클라이언트에 IP 주소를 할당하기 위한 DHCP 임대 시간(시간 단위)을 설정하기 위하여 값을 입력하십시오(1-720).
    • 기본/보조 DNS: DHCP 클라이언트의 기본/보조 DNS 주소를 각각 입력하십시오.
    • 도메인 이름: DHCP 서버의 도메인명을 설정하십시오.
    • 서브넷 리스트: 이곳에서 서브넷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DHCP 클라이언트 리스트: 이곳에서 DHCP 클라이언트 리스트 및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(예: MAC 주소, IP 주소, 호스트명, DHCP 임대 만료까지 남은 시간 등).
    • DHCP 예약: 클라이언트가 DHCP 임대 갱신 기간 동안 항상 동일한 IP 주소를 받기 원할 경우 클라이언트를 DHCP 예약 목록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.
  • 프록시: 여기서 프록시 서버 연결을 사용 설정하여, NAS가 프록시 서버를 통해 인터텟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프록시 서버: 연결하려는 프록시 서버의 주소. (HTTP와 HTTPS를 지원합니다.)
    • 포트: 프록시 서버의 통신 포트.
    • 인증: 사용 중인 프록시 서버에서 인증이 필요한 경우, 여기서 이를 사용 설정한 후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.
  • PPPoE
    • DSL또는 케이블 모뎀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하고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를 사용하는 경우[설정] [Network] [PPPoE]를 사용하여 시스템이 라우터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. PPPoE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으려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나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문의하십시오.
  • VPN
    • 이 옵션을 사용해 ASUSTOR NAS를 VPN 클라이언트로 만들거나 PPTP, OpenVPN 또는 WireGuard을 통해 VPN 서버에 연결해 가상 사설망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. ASISTOR NAS는 다양한 연결 설정 파일 사용을 지원하기 때문에 원하는 VPN 서버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. ASUSTOR VPN 클라이언트는 현재 ADM 4.2에 도입된 WireGuard와 함께 PPTP 및 OpenVPN을 지원합니다.
  • 링크 어그리게이션
    • 링크 어그리게이션(트렁킹, 본딩 또는 티밍으로도 알려짐)은 2개 이상의 네트워크 연결을 하나로 결합합니다. 링크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려면 이더넷 케이블이 동일한 네트워크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, 네트워크 스위치가 링크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해야 합니다.


추가 자료

NAS 105 - 네트워킹: 초보자 가이드

NAS 307 - 네트워킹: 링크 어그리게이션

NAS 322 - NAS를 VPN에 연결하는 방법